카테고리 없음

훈민정음 해례본

우성진 2023. 5. 26. 20:26

          세종대왕과 함께 한 장 한 장 펼쳐보는 ​훈민정음 해례본       이미 여러달 전부터 눈독들여 왔던 훈민정음 해례본을 만나볼 수 있어서 아이보다 내가 기쁘다. 우리의 한글이 갖는 값어치와 우리보다 더 크게 쳐주는 유명한 위인들의 한글평가 문구는 내 가슴을 또 뜨겁게 하곤 했기에 더 깊이.. 더 자세히.. 그리고 재미있게 알아갈 수 있는 도서라면 언제든 오케이였던 것이다.   들춰보니 마음에 쏙 든다. 아이가 보기에도 쉽고 재미있게 꾸려놨으나 엄마가 보는 이 순간에도 유치하거나 모자름이 있는 내용이 아니었다. ​세종대왕의 직접 설명을 들어가며 한 장 한 장 제대로 이해하게 된다고 해야할까? 할아버지 같은 세종대왕의 설명에서 보태어질 부분은 다시 학사 대표 정인지가 설명을 해주는 방식이라 더 좋고, 삽화의 표현들은 유머러스해서 우리 글을 알아가는 과정이 조금도 지루하지 않게 꾸려져 있다.​ ​ ​예의 편 해례 편 정인지 서 집현전 학사 정인지​ 서         갑자기 저녁에 정전이 되어버렸다.  보조배터리에 소형 램프를 끼우던 녀석이 더듬더듬 찾아와 첫 날 재미지게 읽다가 만 훈민정음 해례본을 보기 시작하기에 물어보니 "세종대왕님은 전기가 없을때도 남들이 말리는데 새벽까지 책을 봐서 눈이 안좋아진 왕이니까나도 불 나갔을때 이렇게 읽어보면 좋겠잖아요" 라고 말했다.  오호~~~ 엄마가 배우는구나.       [훈민 정음 소리내는 방식]     개인적으로 나는 오른쪽 페이지 윗편에 있는 [세계인이 말하는 한글] 이라는 코너가 너무나 좋고, 보면서 우리 한글이 이다지도 높은 평가를 받는구나.. 참으로 우리의 글이 자랑스럽구나.. 싶은게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이 글조차도 위대한 한글이라는 점에서 나는 축복받은 후손임에 감사했다. 그들은 한글을 이렇게 말한다. ​ 신이 인간에게 내린 선물 문자를 통해 정보를 체계화하겠다는 시도가 600년 전에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세계 모든 문자에 순위를 매겼을때 한글은 1위     뒤에서 읽다가도 다시 앞으로 넘어가 읽어보는 이유는? 스토리텔링이 아니라서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신기하고 재미진 내용들이 요기조기 있어서이다. 어린이추천도서 한 권이 주는 맛은 불꺼진 늦은 밤 머리감고 말리지 못해 책을 읽는 아들녀석과 과거 세종대왕이 있던 시절로 돌아간 것 같은 묘한 기분이랄까?  앞으로 뒤로 신기한 훈민정음의 매력을 알아가며 옛 선비나 도령들이 읽는 소리마냥 크게 소리내어 읽어보았다.     백성 모두가 배우기 좋고 바로 익힐 수 있는 한글로 인해 자신들의 위치나 입지가 좁아질 것을 염려한 양반 사대부들의 훈민정음 반대로 인해 비밀리에 만들어야 했고, 훌륭한 이 문자는 다른 나라와의 전쟁때 암호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위대하고 거대한 힘을 지닌 한글.. 그것을 아이들이 함께 배우고 제대로 알아 자랑스러워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우리 부모들의 가장 첫 일이 아닐까?           오로지 백성들을 위해 만들어진 훈민정음.. 글 모르는 백성들이 당해왔던 억울함과 손해를 줄이고 보다 나은 삶이 될 수 있게 만든것이며 이런 500여전의 노력 덕분에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나라가 되었다. 이런 훌륭한 글로 우리는 어떤 말을 사용하고 글을 쓸 것인가!! 아이와 주말에는 광화문 앞에 있는 세종대왕님을 만나뵙고, 전시된 것들과 대화를 나눠봐야지.한글날이 되면 어김없이 빼 읽을 정말 유용하고 귀한 도서가 우리집 식구가 되니 좋다~    

훈민정음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 을 직접 들여다보며한글의 우수성에 대해 살펴본 책!지금은 한글이라고 불리고 있는 훈민정음은 아주 독창적인 특징을 가진 글자입니다. 그중 하나가 오로지 백성들을 위해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특징은 바로 글자의 창제 원리가 발음기관을 본떴다는 점입니다. 이는 인류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지요. 또한 창제의 원리가 세세하게 밝혀진 유일한 글자이기도 하며, 그에 대한 설명서가 있기도 합니다. 바로 훈민정음 해례본 이지요. 이 책은 훈민정음 해례본 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게 세종 대왕의 친절한 설명을 곁들여 한 장 한 장 살펴봅니다.

8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훈민정음

10 훈민정음 서문 훈민정음을 왜 만들었을까?

12 훈민정음 예의 편 발음 기관의 모습을 딴 닿소리

14 훈민정음 예의 편 가운뎃소리인 홀소리와 글자의 어울림

16 훈민정음 해례 편 제자해 첫소리를 만든 원리

18 훈민정음 해례 편 제자해 가운뎃소리를 만든 원리

20 훈민정음 해례 편 제자해 글자의 끝소리, 받침

22 훈민정음 해례 편 제자해 7언시로 풀이한 제자 원리

24 훈민정음 해례 편2 초성해 첫소리를 알아보자

26 훈민정음 해례 편2 중성해 가운뎃소리를 알아보자

28 훈민정음 해례 편2 종성해 끝소리를 알아보자

30 훈민정음 해례 편 합자해 글자를 어떻게 합할까?

32 훈민정음 해례 편 소리의 높낮이를 알아보자

34 훈민정음 해례 편 훈민정음으로 마음껏 표현한 순우리말

36 훈민정음 해례 편 재미나고 예쁜 우리말들

38 훈민정음 정인지 서 집현전 학사 정인지가 쓴 서문

40 훈민정음 정인지 서 집현전 학사를 대표하여

42 과학적이고 예술적인 문자 한글의 세계화 이야기

43 한글을 찾아 떠나는 체험 여행